우분투 명령어를 찾다가 너무 정리를 잘해주신 분이 계셔서 스크랩해왔다.
이걸 활용해서 공부해보겠다.
velog.io/@devyang97/Linux-%EB%AA%85%EB%A0%B9%EC%96%B4-%EC%A0%95%EB%A6%AC-Ubuntu-%EC%82%AC%EC%9A%A9
디렉토리 관련 명령어
디렉토리 목록 확인
$ ls
$ ls -al : 감춰진 파일은 .이 붙는다. a 옵션을 사용하면 해당 파일을 확인할 수 있다.
$ ls -l
새 디렉토리 생성
$ mkdir [디렉토리명]
$ mkdir -p [디렉토리명/디렉토리명/디렉토리명...] : 여러 디렉토리 생성
디렉토리 이동
$ cd [디렉토리명]
$ cd .. : 부모 디렉토리로 이동
tip) 디렉토리명이 너무 길 때, 조금만 쓰고 tab키 누르면 자동완성
디렉토리 삭제
$ rm -r [디렉토리명]
: -r (remove directories and their contents recursively; 해당 디렉토리 아래 있는 내용들도 삭제한다.)
파일 관련 명령어
비어있는 파일 생성
$ touch [파일명]
파일 삭제
$ rm [파일명]
파일 복사
$ cp [파일위치 및 파일이름] [목적지 파일위치 및 파일 이름]
파일 이동 (파일 이름을 바꿀 때에도 사용)
$ mv [파일위치 및 파일이름] [목적지 파일위치 및 파일 이름]
$ mv [원래 파일 이름] [바꾸고 싶은 파일 이름]
파일 만들고 편집 (nano 에디터)
$ nano [파일명] : 새 파일 작성 or 존재하는 파일 수정
파일 내용 보기
$ cat [파일명]
파일 위치 검색
$ locate *.log : (확장자가 .log인 파일 찾기)
: 디렉토리를 뒤지는게 아니라 데이터베이스(mlocate)를 뒤져서 찾는다.
$ find . *.log : 디렉토리 뒤짐
$ whereis ls
$ whereis rm
: 실행파일 위치 찾기
현재 위치 확인
$ pwd
명령창 내용 삭제
$ clear
명령어 도움말 확인
$ [명령어] --help
$ man [명령어] : /[찾고싶은단어] 사용해서 단어찾기 가능, 그 상태로 n을 누르면 다음 단어 찾기
패키지 매니저 (Package Manager)
- 기본으로 내장되어 있는 패키지(프로그램)가 아닌 새로운 패키지(프로그램)를 설치하려고 할 때 도와주는 소프트웨어 (안드로이드의 구글플레이, iOS의 앱스토어 같은 ..)
- apt, yum 등이 있음.
패키지 목록 업데이트
$ apt-get update
- 패키지 매니저를 통해 설치할 수 있는 패키지 목록들을 업데이트한다. (설치하기전에)
- 패키지가 설치되는게 아니라 패키지 목록들이 업데이트 되는 것.
패키지 찾기
$ apt-cache search [패키지명]
- 저장된 패키지 목록 중에 해당 패키지 찾기..?
- 관련된 패키지 목록까지 나온다.
패키지 설치
$ apt-get install [패키지명]
패키지 업그레이드
$ apt-get upgrade
$ apt-get upgrade [패키지명]
패키지 삭제
$ apt-get remove [패키지명]
패키지를 설치하는 순서 (항상 이 순서를 따르는게 좋음.)
- 패키지 목록 업데이트 (apt-get update)
- 패키지 설치 (apt-get install)
다운로드
파일을 다운로드 (wget 사용)
$ wget -O [저장할 파일명] [다운로드 url]
소스코드 다운로드 (git 사용)
- git 설치
$ apt-get install git - 소스코드 다운
$ git clone [소스코드 url] [디렉토리명] : 명시한 디렉토리에 소스코드 다운받는다.
why CLI?
1. 순차적 실행 (using semicolon)
ex) $ mkdir why; cd why
- 언제 유용한가?
- 하나하나의 명령들이 1000시간이 걸린다고 할 때, 명령어 하나하나씩 치는 것과 여러개를 한번에 치는 것은 차이가 있음.
(여러 개 명령어를 한 번에 치면 알아서 마지막 결과만 나타남.)
2. 파이프라인
- 명령어의 연결
- 어떤 프로세스의 출력을 다른 프로세스의 입력으로 . . .
- 원하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행을 출력
- ex)
$ grep linux linux.txt : 'linux'가 포함된 행 출력
$ ls --help | grep sort : ls --help에서 'sort'가 포함된 행을 출력 (ls --help의 출력을 grep의 입력으로)
$ ls --help | grep sort | grep file : ls --help에서 'sort'와 'file'이 포함된 행을 출력
IO Redirection
- output
$ ls -l > result.txt : result.txt 확인해보면 ls -l 출력물 담겨있음. - error (에러 결과를 저장하려면? '2>' 를 사용한다. (standard error를 가리킴))
ex) 해당 디렉토리에 rename2.txt가 없을 때
$ rm rename2.txt 2> error.log : error.log에 에러 내용이 담겨있음. - input
$ cat hello.txt : cat의 cammand-line arguments로써 역할
$ cat < hello.txt : hello.txt 내용을 standard input으로..
$ head -n1 < linux.txt > one.txt : linux.txt 내용을 input, one.txt에 출력물을 저장
디렉토리 구조
- /bin: 사용자가 사용하는 명령어 모음
- /sbin: 관리자가 사용하는 명령어 모음
- /etc: 프로그램 설정을 관리하는 디렉토리
- /etc/init.d: daemon의 목적을 가진 프로그램들 있음.
- /var: 내용이 바뀔 수 있는 파일들 모음
- /tmp: 임시파일들. 컴퓨터가 꺼지면 날아간다.
- /home: 사용자들의 파일들이 저장되는 디렉토리
- /lib: /bin과 /sbin에 있는 프로그램들이 사용하는 라이브러리 모음
- /usr: 유저가 다운받은 프로그램들 저장..
프로세스 관련 명령어
프로세스 목록 확인
$ ps
백그라운드 프로세스 목록까지 확인
$ ps aux
$ ps aux | grep apache2 : 'ps aux'의 출력에서 apache2가 포함된 행 출력
프로세스 강제 종료
$ kill [pid]
그 외 프로세스 목록 확인 명령어
$ top
$ htop (top과 비슷하지만, 시각적인 면에서 더 좋음)
백그라운드 실행
ex) nano 에디터 실행하다가 ctrl + z -> 백그라운드에서 돌아가도록 등록
백그라운드로 돌아가는 프로그램 확인
$ jobs
: +가 붙어있는 프로그램 -> fg 실행했을 때, 실행되는 프로그램
: -가 붙어있는 프로그램 -> fg 실행했을 때, + 다음으로 실행될 프로그램
foreground로 돌아가기
$ fg
$ fg %번호 : 해당 번호 프로그램으로 돌아간다.
백그라운드 프로그램 죽이기
$ kill
$ kill -9 %번호 : 강제종료
daemon: 항상 실행되고 있다.
테스트를 위해 apache2 웹서버 설치
$ sudo apt-get install apache2
설치 후 /etc/init.d에 가보면 apache2가 있다.
apache2 켜기
$ sudo service apache2 start
잘 켜진지 확인
$ ps aux | grep apache2
apache2 끄기
$ sudo service apache2 stop
꺼져있는지 확인
$ ps aux | grep apache2 : 목록에 나타나지 않음.
cron (정기적으로 실행시키고 싶은 작업이 있을 때)
$ crontab -e : 처음 실행했을 땐, 에디터 골라야 함
m h dom mon dow command
- m: 분 주기
ex) 10: 매 시간 10분에 한 번
ex) */1: 1분에 한 번 - h: 시간 주기
ex) *: 시간에 상관 없이
ex) 1: 매 1시에 - dom: day of month
ex) 24: 매 달 24일에 한 번 - mon: month
- dow: day of week (요일)
- command: 주기적으로 실행할 명령어
테스트
1. command 자리에 date >> date.log 입력 (>>는 해당 파일 아래로 쭉 출력결과가 쌓임)
2. $ tail -f date.log (꼬리에 새로운 텍스트가 추가 될 때, 실시간으로 표시해줌.)
에러가 난 경우도 로그로 남기는게 좋다.
*/1 * * * * date >> date.log 2>&1
: 표준 출력을 date.log에 남기고 표준 에러가 발생하면 표준 출력으로 리다이렉션
: date.log에 에러도 함께 저장됨
단축키 만들기
$ alias l='ls -al'
-> l을 입력하면 ls -al의 출력이 나옴
.bashrc 파일
bash가 시작되었을 때 실행됨.
다중 사용자
$ id : 현재 접속한 계정의 정보 확인
$ who : 이 컴퓨터에 누가 접속해있는가
~$로 끝나면 일반 사용자
~#로 끝나면 root 사용자
sudo (super user do)
- 리눅스는 다중 사용자 운영체제
- 사용자마다 어떤 일에 대한 권한이 있음.
- 중요한 일에 대한 권한은 super user(root)만 가지고 있음.
- 따라서 super user의 권한이 필요할 때 sudo를 사용한다.
- 직접 root계정에 접속해서 명령어를 실행 시킬 수도 있지만, 안전을 위해 일반 사용자로 로그인 후 sudo를 사용하도록 하자.
사용자 추가
$ sudo useradd -m [사용자명]
-> /home에 가보면 사용자가 추가된 걸 볼 수 있음.
-> 그러나, 이렇게 만들면 해당 계정에서 sudo 명령어를 사용할 수 없음.
sudo 사용할 수 있도록 변경
$ sudo usermod -a -G sudo [사용자명]
비밀번호 설정
$ sudo passwd [사용자명]
로그인 (su 사용)
$ su - [사용자명]
permission (권한)
$ ls -l
-> -rw-rw-r-- 1 egoing egoing 0 Dec 4 23:19 perm.txt
(1) type | (2) access mode (r: read, w: write, x: execute) |
(3) owner | (4) group |
- file: -, directory: d |
[owenr 권한] rw- |
[group의 권한] rw- |
[other의 권한 (!owner && !group)] r-- |
권한 변경 (chmod)
u: owner
g: group
o: other (not owner, not group)
a: all
$ chmod o-r perm.txt
: perm.txt파일의 other read 권한 삭제
$ chmod o+r perm.txt
: perm.txt파일의 other read 권한 허가
execute
$ nano hi-machine.sh
#!/bin/bash echo 'hi hi hi hi'
파일 실행 시도 1
$ ./hi-machine.sh -> 허가 거부 뜸
파일 실행 시도 2
$ /bin/bash hi-machine.sh -> 실행됨
owner 실행 권한 추가하기
$ chmod u+x hi-mashine.sh -> 해당 파일 초록색으로 표시됨
파일 실행 시도 3
$ ./hi-machine.sh -> 실행됨
directory
- r 모드: 해당 디렉토리에 소속된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열람할 수 있는지?
- w 모드: 해당 디렉토리 내부를 수정 할 수 있는지? (파일 생성, 수정, 삭제, 파일이름 변경 등)
- x 모드: 해당 디렉토리로 들어갈 수 있는지?
- chmod 명령어의 -R 옵션: 재귀적으로 해당 디렉토리 안에 있는 것들의 mode를 모두 바꾼다.
Numerical permissions
숫자의미영문으로 표현
0 | none | --- |
1 | execute only | --x |
2 | write only | -w- |
3 | write and execute | -wx |
4 | read only | r-- |
5 | read and execute | r-x |
6 | read and write | rw- |
7 | read, write and execute | rwx |
ex) $ chmod 111 perm.txt -> --x--x--x로 변경됨.
'=' 사용
추가/삭제 개념이 아니라 아예 바뀌는 것
$ chmod a=r perm.txt -> owner, group, other read만 가능
$ chmod a= perm.txt -> owner, group, other 아무 권한 없음.
IP 주소 확인
$ ip addr : 컴퓨터 IP 확인 (private ip)
$ curl ipinfo.io/ip : ipinfo.io/ip 입장에서 접속된 ip (public ip)
웹서버
웹서버 설치 (apache2)
$ sudo apt-get update
$ sudo apt-get install apache2
웹서버 시작, 중지, 재시작
$ sudo service apache2 start
$ sudo service apache2 stop
$ sudo service apache2 restart
쉘을 통해 웹서버 접속 (쉘에서 웹브라우징) : elinks 사용
$ sudo apt-get install elinks
$ elinks http://10.0.2.15/ (컴퓨터 IP 입력) -> local 서버 접속
웹서버의 설정
/etc/apache2 에 아파치 설정파일 있음. (apache2.conf)
웹서버가 어떤 storage에서 파일을 찾을 것인가는 설정파일에서 확인.
default는 /var/www/html 인데, 설정 바꿔서 변경시킬 수 있음.
이때 /var/www/html를 document root라고 부른다. (웹페이지를 찾는 최상위 디렉토리)
웹서버의 로그 확인
/etc/apache2/sites-enabled/000-default.conf 가보면 로그는 어디에 기록할지 명시해둔 부분이 있다. (/var/log/apache2)
access.log: 누군가가 웹서버에 접속할 때마다 기록이 남겨짐.
error.log: 에러 로그 확인 가능
실시간으로 확인하려면?
$ tail -f /var/log/apache2/access.log
SSH
- 다른 컴퓨터를 원격제어 할 때 사용
- 클라이언트를 원격접속 시도하려는 컴퓨터, 서버를 원격접속 당하는 컴퓨터라고 한다면, 클라이언트 컴퓨터에는 ssh client 프로그램이 있어야하고 서버에는 ssh server 프로그램이 있어야 한다.
- 오늘날 대부분의 유닉스 계열 시스템에서는 ssh 서버가 설치되어있기 때문에 설치할 필요가 거의 없다.
- 원격 접속 시도
$ ssh 계정명@접속아이피
(처음 접속하면 진짜 접속할 건지 물어보는데 yes 하면 됨.) - 포트번호와 함께 접속 시도
$ ssh -p 포트번호 계정명@접속아이피
ssh 심화수업 - 비밀번호 입력없이 로그인하기
접속을 시도하는 컴퓨터: 내 컴퓨터
접속 대상이 되는 컴퓨터: 원격 컴퓨터
원격 컴퓨터에 내 컴퓨터의 공개키를 저장해두면, 원격 컴퓨터에 로그인 없이 (비밀번호 입력없이/인증 없이) 로그인 가능
어떤 컴퓨터가 인증된 컴퓨터?
원격 컴퓨터의 ~/.ssh/authorized_keys 파일에 들어있는 키 목록을 보고 판단한다. (authorized_keys 파일은 있을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음.)
원격 컴퓨터에 내 컴퓨터를 인증시키는 방법
- ssh 공개키 비밀키 만들기 [내 컴퓨터에서 실행]
$ ssh-keygen
Q. Enter file in which to save the key?: (저장되는 위치) 엔터
Q. Enter passphrase: 비밀번호 쓰려면 입력하고 아니면 그냥 엔터
~/.ssh 들어가보면 id_rsa(ssh private key), id_rsa.pub(ssh public key)가 있음. (id_rsa는 절대로 비공개) - authorized_keys 파일 끝에다가 내 컴퓨터의 id_rsa.pub 내용을 붙여넣는다. (ssh-copy-id 명령어를 사용하여 안전하게 붙여넣자.) [내 컴퓨터에서 실행]
-> $ ssh-copy-id (원격 컴퓨터 계정)@(원격 컴퓨터 주소)
-> 원격 컴퓨터의 비밀번호 입력 - 잘 붙여넣어졌는지 확인 [원격 컴퓨터에서 실행]
$ cat ~/.ssh/authorized_keys - 로그인 없이 로그인 시도 [내 컴퓨터에서 실행]
$ ssh (원격 컴퓨터 계정)@(원격 컴퓨터 주소)
-> 비밀번호 입력 없이 로그인 가능
포트 (port)
default port (기본적으로 쓰도록 약속)
ex) 웹서버는 80, ssh 서버는 22
- 각 서버들은 해당 포트에서 대기중이다. (listen)
- 약 65000개의 포트가 있는데, 그 중에 1024개의 well-known 포트가 있다. (잘 알려진 포트)
도메인과 DNS (Domain Name System)
- 사용자가 google.com 이라고 브라우저 주소창에 입력하면
- DNS 서버가 google.com 이름을 가진 IP를 찾아서 사용자 컴퓨터에 알려준다.
- 사용자 컴퓨터는 그 IP 정보로 google.com에 접속
- /etc/hosts 파일: 아이피-도메인 명시해둔 것?
- ex) hosts파일에 127.0.0.1 google.com 추가하고 브라우저에 google.com 이라고 입력했을 때, 127.0.0.1 웹서버와 매칭됨.
- /etc/hosts에서 먼저 찾아보고, 찾아봤을 때 없으면, DNS 서버에서 찾고..
- 만약 /etc/hosts에 있으면 DNS 서버는 관련없음.
- /etc/resolv.conf -> nameserver 적혀있음.
- $ host [도메인] -> 호스트 정보 나옴 (어떤 아이피로 연결되어 있는지)
서브도메인
- 하나의 도메인 구입으로 여러 도메인 사용할 수 있음.
- ex) admin.egoing.ga, blog.egoing.ga, news.egoing.ga
- 서로 다른 아이피를 가리키게
- 하나의 도메인으로 여러 사이트를 운영!
rsync
동작방법 예시
$ mkdir src
$ mkdir dest
src 디렉토리안에 파일 생성
$ touch test{1..10}: test1~test10까지 생성됨.
$ rsync -a src/ dest -> src 아래 있는 파일들이 dest 폴더안으로 복사된다.
(a 옵션 : 아카이브 모드로 동작. 파일 뿐만 아니라 디렉토리도 복사되고, 권한과 같은 파일/디렉토리 속성이 바뀌면 반영되고, 변경사항들만 전송)
dest 폴더 가서 test10 삭제
$ rm test10
$ rsync -av(더 자세하게 출력) src/ dest 실행 -> dest안에 있던 test10 다시 생김.
src 폴더 가서 추가 파일 생성 후, rsync 해보면 src에서 만든 파일 만이 dest 안에 생성된다.
컴퓨터와 컴퓨터 사이에 전송
$ rsync -azP ~/rsync/src/ k8805@대상아이피:~/rsync/dest
az: 압축한다.
P: 전송되는 상황을 progress bar로 보여준다.
암호화
대칭적인 방식
어떤 정보를 암호화/복호화 할 때 키를 사용하는데, 암호화 했을 때와 복호화 했을 때 같은 키를 사용한다면 대칭적인방식
비대칭적인 방식
- ssh-keygen으로 만든 private key, public key를 사용
- 암호화 할 때에는 private key, 복호화 할 때에는 public key를 사용
- private key, public key는 짝꿍이다.
- 대표 주자: RSA
RSA 동작방식
- ssh client로 ssh server에 접속하면
- ssh server는 랜덤한 키를 생성하여 client 컴퓨터에게 준다.
- ssh client는 id_rsa 파일(private key)이 있는지 찾는다. 있으면 그 파일을 이용해서 전달 받은 랜덤키를 암호화 시킨다.
- 암호화된 결과를 ssh server에게 전송
- ssh server는 authorized_keys에 저장된 공개키를 이용해서 전달받은 암호화된 파일을 복호화 한다.
- 복호화된 결과가 처음에 전달한 랜덤키와 같으면 인증 성공
'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우분투 다중 터미널 / 분할 터미널 Terminator (0) | 2021.08.18 |
---|---|
ubuntu 듀얼부팅 환경설정/ 듀얼부팅 문제해결 (0) | 2021.05.31 |